어떻게 써야 하나?
상태바
어떻게 써야 하나?
  • 지호원 작가
  • 승인 2020.06.04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호원 작가의 글쓰기 강좌(27)

 

수필을 쓰기 위해서는 먼저 글감을 정해야 한다. 일기나 자서전은 자신의 이야기이기에 이미 ‘나’라는 소재가 정해져 있고, 굳이 무엇을 이야기해야 한다는 주제가 없어도 된다. 시간을 되돌려 기억하고, 그 기억을 통해 내가 받고 주었을 인생의 상처나 아픔들을 치유함으로써 미래를 설계하면 된다.

그러나 수필은 일기와는 다르게 타인에게 내 생각을 알리고 싶은 일이기에 제3의 독자가 있다고 가정하고 써야 한다. 때문에 ‘주관적 + 객관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그럼 뭘 써야 하지? 하고 미리 고민하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지금 떠오르는 일, 재밌었던 일, 기억에 남는 일 등을 소재로 삼아 자기 생각을 그 안에 녹여내면 된다.

글쓰기에는 정답이 없기에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이야기가 달라진다

글감은 먼 곳에 있는 게 아니다. 생활 속 이야기나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 또는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누군가 도란도란 나눈 남의 이야기도 내가 공감을 한다면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글쓰기에는 정답이 없기에 그것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이야기가 달라질 뿐이다.

글쓰기에 앞서 두 번째로 생각해 볼 것은 그런 이야기를 왜 쓰고 싶은지? 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그게 바로 글의 주제가 되는 것이다. 내가 어떤 이야기를 통해 하 고 싶은 말이 뭔지 다시금 생각해보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주제라고 해서 대단히 무겁고 심각한 건 아니라는 것이다. 이야기를 쓰고 싶은 이유, 이야기를 통해서 말하고 싶은 무엇, 그게 바로 주제다.

세 번째, 이야기에는 시작, 중간, 끝이 있어야 한다. 어떻게 시작해서, 중간에는 어떤 이야기를 하고, 끝에 가서 결말은 어떻게 낼 것인지 결정을 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글의 구성이다. 흔히 말하는 기승전결이 바로 그것이다.

넷째, 짧은 수필(한뼘 수필)은 가능한 한 호흡에 쓰고 수정하는 것이 좋다. 글쓰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쓴 글을 수정하고 또 수정하는 것이다. 헤밍웨이가 <노인과 바다>를 400번 이상 수정해서 발표한 뒤, 그가 한 말은 ‘내가 쓴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라는 말이었다. 굳이 수필이 아니더라도 짧은 글은 가능한 한 호흡에 쓰고 수정하고 또 수정하라는 말은 백번을 강조해도 부족하기만 하다.

다섯째, 독자는 두 가지 통로를 통해 글에 빠져든다. 하나는 내용이고, 다른 하나는 리듬이다. 내용은 시각 비중이 크고 리듬은 청각의 역할이다. 글을 읽는 것 역시 노래 감상과 같다. 우리는 노래를 들을 때 가사와 가락을 동시에 음미한다. 글도 마찬가지다. 가사와 가락의 비중이 다를 뿐이다. 노래는 가락 비중이 크지만, 글은 가사에 더 방점이 찍힌다. 그러니 글 쓰는 사람은 작사가인 동시에 작곡가여야 한다. 가사만 좋고 박자가 안 맞으면 잘 읽히지 않는다. 글에 빠져들지 않는다. 방법은 마음속으로 소리 내어 읽으면서 글을 쓰는 것이다.